앞서 설명했듯 **시·도당
**은 지부에 가까우며 그 구조는 중앙당과 유사합니다.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별로 **시·도당
**이 설치되어 총 17개의 **시·도당
**이 운영되고 있습니다. 자세한 형태는 아래에서 살펴보겠습니다.
**시·도당
**의 형태는 다음과 같습니다.
중앙당과 비슷하게 시·도당대의원대회
-상무위원회
-운영위원회
-시·도당위원장
순으로 핵심적인 힘을 지니고 있고 그외에 목적에 따라 다양한 조직들이 붙어있습니다. 다른점이라면 **시·도당
**이 있던 자리에 **지역위원회
**가 위치해있단 점입니다.
**시·도당대의원대회
**는 **시·도당
**의 대의기관입니다. 전국대의원대회처럼 인원이 많은만큼 잘 열리지 않으며 열리는 경우도 목적이 한정되어 있습니다.
**시·도당대의원대회
**의 권한은 다음과 같습니다.
시·도당대의원대회
또한 권한을 위임할 수 있어 상무위원회
에 위임한 경우가 많습니다. 당대표
·최고위원
선출과 마찬가지로 시·도당위원장
선출은 **시·도당대의원대회
**를 거쳐 진행합니다.
**상무위원회
**는 **시·도당
**의 의결기관입니다. **시·도당위원장
**과 지역구 국회의원, 지역위원장 등 7개 분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**시·도당
**마다 선출직 숫자에 따라 인원규모가 달라지나 시·도당
내에서는 규모있는 조직으로 잘 개최되지 않습니다.
**상무위원회
**의 권한은 다음과 같습니다.